[창간9주년특집 II] 디지털체헐리즘- 진단
상태바
[창간9주년특집 II] 디지털체헐리즘- 진단
  • 구명희 기자
  • 승인 2021.03.15 10:0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디지털 치과 저도 한 번 가봤습니다

디지털 덴티스트리를 구축할 수 있는 치과용 장비들이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아무것도 없는 황무지에 흙을 고르고 건물을 만드는 것처럼 디지털 덴티스트리 초창기 도입 임상가들은 ‘디지털 치과는 이제 거스를 수 없는 시대의 흐름이며, 하나의 경쟁력’이라고 입을 모은다.

어쩌면 그 시작은 구강스캐너일지도 모른다. 디지털 치의학을 생각한다면 대부분 임상가들은 구강스캐너를 이용해 인상을 채득하고, 밀링머신으로 제작한 보철물을 환자에게 씌우는 등 한 번의 치과방문으로 치료를 마무리하는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개원가를 위한 Digital Dentistry』(출판사: 한국퀸테센스출판)를 펴낸 대한디지털치의학회 한중석 직전회장은 책에서 “실제 치과에서 디지털기술은 전자식 의무기록, 방사선 영상자료, 치아 우식의 진단, 전자식 교합 분석, 교정 진단 및 교정 장치의 제작, 임플란트 수술을 위한 진단 및 수술용 가이드의 설계와 제작, 치아색조 측정 등 다양한 부분에서 독립적 또는 융합해 사용되고 있다”고 언급한 바 있다.

단순히 디지털 덴티스트리는 구강을 스캔하고 보철물을 제작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진단계획을 바탕으로 환자와의 소통, 상담까지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고 앞으로도 무궁무진하게 발전 가능성이 있는 시스템이라는 것이다.

지난 3월 8일 퇴근 후 디지털 진료를 활발하게 하는 이재민 원장의 미래로치과를 찾았다. 마침 수요일 야간진료였다. 사전에 원장님께 취재를 위한 체헐리즘 협조를 구한 뒤어서 따로 예약은 하지 않았다.

미래로치과는 원내 치과기공소를 들이고 진단부터 보철까지 치과 내에서 해결한다. 치과를 들어서는 것에는 어색함이 없지만, 치료를 받기 위해 체어에 누울 때는 언제나 두렵고 떨리는 마음이 크다. 

이번 체헐리즘에서도 마찬가지였다. 2년 전 스케일링을 받으면서 충치가 발견돼 그 자리에서 구강스캐너로 입안을 스캔하고, 엔도 치료 후 크라운을 다시 씌운 적이 있다. 그래서 사실 디지털 치료에 대한 거부감이 상대적으로 적은 편이긴 하다. 

다만 턱관절이 좋지 않아 어떤 치과진료에서도 자꾸 입이 다물어지는데, 이번에도 구강 내를 스캔하는 과정에서 저절로 입이 다물어져 몇 번이고 다시 입을 벌려야 했다.

이재민 원장님의 오더에 따라 담당 치과위생사 선생님은 얼굴에 포를 덮고 나의 구강을 스캔한다. 

인상재를 넣고 입을 ‘앙!’ 다물어야 하는 기존 아날로그 치료에 비해 편하다. 재료의 역한 냄새도 없고, 치과위생사 선생님이 인상을 뜨고 “입을 다물어 보세요~”라고 했을 때, “혹시나 입을 잘못 다물어서 교합이 어긋나서 본이 떠지면 어쩌지?”라는 걱정도 없다. 인상재가 입술에 말라 붙을 일도 없다.

구강스캐너를 활용한 스캔은 어림잡아 5분 정도의 시간이 걸렸다. 침이 살짝 고이지만 한 번 해봤기에 조금만 참으면 된다는 생각을.

본을 뜨고 나면 ‘TRIOS 4’의 Patient Monitoring에 나의 치아 모형이 3D 영상으로 뜬다<사진 ②>. 

모니터에 있는 데이터를 바탕으로 이 원장님은 나와 상담을 시작했다<사진 ③>.

“빨간색 부분이 잇몸과 충치를 나타내는데, 기자님의 경우는 안쪽치아에 보철물이 있어 동일한 빨간색으로 표기되는 겁니다” <사진 ④>

헙…. 설명을 듣기 전에는 순간 내 입안의 모든 치아가 썩은 줄 알았다. 

이번 체헐리즘에서 기자가 원하던 그림은 치료할 충치가 구강스캐너로 보이는 것이었고, 보철물 장착까지 가능한 상황이 벌어지길 바랐으나, 나름 구강관리를 잘했나보다. 치료할 게 없다<사진 ⑤>.

다만 체헐리즘을 통해 느낀 것은 디지털은 진단하고 보철물을 제작에 그치지 않을 것이라는 점이다. 현재 구강스캐너로 본을 뜨고, 추후 진단 자료로도 활용할 수 있는 툴 역할까지 가능한 시대가 올 것이다.

3Shape 자사 홈페이지에서 ‘TRIOS 4’는 형광 기술로 치아 우식부위를 구별할 수 있도록 진단을 보조하고 있고, 환자의 치아 상태를 확인하고 문제를 조기에 발견할 수 있다고 설명하고 있다. 이재민 원장도 앞으로 디지털 치과의 미래는 통합된 소트프웨어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예측했다.

이 원장은 “현재 모 기업 외에는 X-ray 데이터, 뷰어, 구강스캐너 데이터 등 각각 따로 관리되고 있다”면서 “추후 이러한 데이터를 통합할 수 있는 시스템이 구축된다면 치과의사가 환자를 상담할 때 하나의 자료를 업로드 해 충치 여부를 판단하는 예방과 진단의 툴, 교정치료 등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환자의 입장에서는 디지털 치료의 장단점도 느낄 수 있었다. 첫째는 구강을 스캔해 구강 내를 육안으로 확인함으로써 치과의사와 환자가 치아 상태를 함께 확인하고 치료 방향을 논의할 수 있다는 점. 이를 통해 치료의 필요성을 술자는 환자에게 보다 쉽게 설명할 수 있다는 것이다. 

반면에 환자는 두려움도 있을 것 같다. 단순하게 X-ray와 CT와 같은 2차원 영상으로 확인했을 때는 치료할 부위를 치과의사가 설명해야만 확인할 수 있었는데, 3차원 영상은 너무 적나라하게 나의 입안을 확인할 수 있어 만약 치료할 부위 많은 환자라면 조금 부끄러울 수도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지면을 빌려 체헐리즘에 흔쾌히 협조해 준 이재민 원장님께 다시 한 번 감사드린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기술 트렌드
신기술 신제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