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4-26 16:52 (금)
[기획특집]젊은 치의 제도적 지원 ‘절실’
상태바
[기획특집]젊은 치의 제도적 지원 ‘절실’
  • 이현정기자
  • 승인 2014.02.28 09:2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페이닥터 지원 부서 등 요구 높아

점차 개원가 진입이 어려워지고 있는 젊은 치과의사들을 위한 제도적 장치 마련이 절실해보인다.

전 사회적으로 젊은 층의 고용불안이 확산되고, 고용의 질이 저하되고 있는 분위기에서 치과의사 역시 예외가 아니기 때문. 50~60대가 주도하는 고용시장에서 젊은 층의 고용률이 떨어지고 있는 현실은 치과계로 돌아와 이미 포화상태에 이른 치과 개원현황으로 개원 진입도 어렵고, 터무니없는 보수 조건에도 묵묵히 참아야 하는 현실과 이어진다.

경기불황과 치과의사 인력 과잉, 포화상태에 이른 개원시장 등 복합적 요인은 이제 젊은 치과의사 1인이 무언가를 슬기롭게 극복하면 성공하는 개원 시대가 아니라 전체 구조를 바꿔가야 할 필요성에 대해 메시지를 던지고 있다.

페이닥터의 비중이 높아지면서, 젊은 치과의사들 사이에서는 치협 내 페이닥터 관련 업무를 전담할 부서에 대한 요구가 생겨나고 있다.

최 모(관악구 봉직의 근무) 씨는 “지금과 같은 인력 공급대로라면 개원보다는 페이닥터 근무 치과의사가 대세를 이루게 될 것”이라면서 “근로계약서 작성이나 배상보험 등 페이닥터 근무여건에 도움을 줄 수 있고, 페이닥터들만의 고충을 해결할 수 있는 전담부서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인력 수급 논의도 본격화할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교육부가 발표한 정원 외 입학 축소, 10년 내 대학정원 감축등의 계획으로 치과의사 인력 수급 조절에 대한 기대감도 높아지고 있지만 다양한 이해관계로 치과계 내부에서도 논의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

치과의사 등 보건의료인을 위한 지원정책도 요구된다. 양질의 치의학 인력 양성을 위한 교육재정 확보 방안을 모색하고, 보건행정직 확충 등으로 치과의사 진로를 확대하는 한편 개원가에 진출하기에 앞서 수련과정과 별도로 임상술기를 트레이닝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 마련 등이 의견으로 나오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기술 트렌드
신기술 신제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