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4-26 16:52 (금)
[사설] ‘소수정예’와 ‘전면개방’ 사이
상태바
[사설] ‘소수정예’와 ‘전면개방’ 사이
  • 윤미용 기자
  • 승인 2013.10.10 10:1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참 멀고도 험한 길이다. 한참을 돌아왔지만 여전히 제자리걸음이다. 도대체 무엇이 문제일까.

치과전문의를 몇 년 째 배출하고 있는 지금도 치과의사전문의제는 여전히 오리무중이다. 임시총회도 열어 봤고 치과전문의제 개선방안 특별위원회(이하 특위)까지 가동 시켰지만 역시나 답을 얻지 못했다.
애초 치과의사들은 치과전문의제를 도입하면서 ‘전면개방’과 ‘소수정예’ 사이에서 소수정예를 택했다. 하지만 예상했던 대로 결과는 실패였다. 올해 초에는 임시총회까지 열며 전면개방안을 내걸었지만 이 마저도 허사였다.

소수정예의 실패를 인정하면서도 전면개방안은 반대한 것이다. 특단의 조치로 특위까지 구성했지만 소수정예를 끝까지 고수했던 단체들도 끝내 뾰족한 안을 내놓지 못했다.

사실 ‘소수정예’나 ‘전면개방’은 같은 의미다. 둘 다 ‘전문의’의 존재를 무력화시키자는 얘기다. 어쩔 수 없이 밥그릇 싸움이 될 수밖에 없는 전문의제는 전문의가 아예 소수이거나 모두가 다 전문의가 된다면 ‘전문의’는 아무런 의미가 없다. 전문의 때문에 일반의들이 피해를 볼 일이 없기 때문이다.

단순히 생각하면 소수정예가 실패한 지금 전면개방을 택하면 될 것 같지만 현실은 그렇지 못하다. 문제는 ‘전면개방’이 진정한 전면개방이 아니기 때문이다.

현재 경과규정은 불가피한 상황이다. 전면개방이라고 표현하지만 이 안이 통과됐을 경우 기수련자와 앞으로 수련 받는 치과의사들만 전문의가 될 확률이 높다. 집행부에서 ‘가정치의’ 등 새로운 전문과목을 도입해 일반의에게도 치과전문의 시험을 치를 수 있는 자격을 주겠다고는 하지만 현실적으로 가능할 것이라고 일반의들은 믿지 못한다.

만약 수련자들만 전문의를 받게 될 경우 약 30%가 전문의가 된다. 나머지 70% 일반의에게는 타격이 될 수밖에 없는 수치다. 그것도 지금 같이 최악의 경영 상태에 과당경쟁이 난무하는 상황 속에서는 말이다.

특위는 지난달 28일 회의를 일단락 하고 결국 결정을 회원들의 손에 넘겼다. 2~3개 복수의 개선안을 마련해 설문조사로 여론을 수렴하고 내년 치협 대의원총회에 상정한다는 방침이다.

어쩐지 결과가 뻔해 보인다. 어느 누구도 양보하지 않으려 한다면 결국 모두가 피해를 보는 상황을 자초하게 될 것이다. 불길한 예감이 틀리기만을 바랄 뿐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기술 트렌드
신기술 신제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