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R한국판] 헷갈리는 사항 정리하기: 모노리틱 수복물 모음
상태바
[CR한국판] 헷갈리는 사항 정리하기: 모노리틱 수복물 모음
  • 윤미용 기자
  • 승인 2020.09.03 09:0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Clearing the Confusion : The Array of Monolithic Restorations

Gordon's Clinical Observations: 과거에는 올세라믹 크라운 및 고정성 보철물이 항상 높은 관심을 받기도 했지만 이들 수복물의 강도는 장기간의 내구성을 제공하기 어려웠다. 그러나 새로운 종류의 세라믹과 폴리머 소재가 개발되고, 풀지르코니아와 리튬디실리케이트 수복물의 강도가 충분함이 입증되면서 전반적인 강도 문제를 극복할 수 있게 됐다.

새로운 크라운의 강도는 어떤가? 이중 어떤 것이 싱글 크라운용 및 롱브릿지 수복물용으로 적합한가? 이번 보고서에서는 CR 과학자들이 개원가에서 사용하는 다양한 모노리틱 크라운과 고정성 보철물의 주요 종류를 비교하고, CR 임상가들이 각 적응증에 맞는 임상제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지난 10년 간, Glidewell Laboratories의 최대 강도력을 보유한(Full-Strength) BruxZir 지르코니아와 Ivoclar Vivadent의 IPS e.max/Press(리튬디실리케이트) 외에도 다양한 성분과 제작 방법을 달리한 수십여 개의 브랜드가 모노리틱(파우더를 축성하지 않는) 수복재료 시장에 들어왔다. 

* 과거 CR/TRAC 연구는 이들 새로운 심미 투명 지르코니아의 8개월 간 임상데이터를 발표하고 이를 토대로 일부 구치부에서는 강도가 충분치 않을 수도 있음을 시사한 바 있다. 

* 리튬디실리케이트, 지르코니아 혼합물, 폴리머 계열의 세라믹 등과 같은 추가적인 수복재료들은 비교적 새로운 소재여서 적용 임상데이터는 한계가 있다. 현재 이들에 대한 많은 연구가 시행되고 있다.

이번 보고서는 현재 출시된 다양한 유형의 모노리틱 수복물들을 비교하고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임상가이드 등을 살펴봤다. 이번 보고서가 담은 내용들은 CR 조사 데이터, CR/TRAC 연구 임상 데이터 및 CR 임상가들의 조언 등을 토대로 작성됐다.

현재의 모노리틱 수복물들 
지난 10여 년 간 모노리틱 크라운이 널리 대중화됐지만 아직도 다른 재료들도 사용되고 있다. 모노리틱 재료들은 특히 모든 간접 방식의 고정성 수복물 제작으로 확대돼왔다. 다음 데이터는 CR 조사 결과를 토대로 집계한 것이다(n=986).

최대 강도 지르코니아
브랜드의 예: BruxZir(Glidewell), Zenostar T(Ivoclar Vivadent), Lava Zirconia(3M), PavatiZ40.1(CCRI)
필요한 치아삭제량: 최소
재료 두께: 0.5~1.0㎜ 미만
심미성: 적정, 낮은 반투명도, 다양한 색조 가능
내구성: 우수함. BruxZir는 CR/TRAC 연구(6년)에서 가장 장기간의 추적 성공 기록을 보유함. 정확히 입증되지는 않았으나 다른 브랜드도 유사한 경향을 보일 것으로 예상됨.
CR의 적용 제안: 구치부 크라운, 고정성 브릿지 보철물, 온레이 등. 과도한 교합을 나타내는 환자에게 가장 좋음(이갈이 환자).

반투명 지르코니아
브랜드의 예: BruxZir Anterior(Glidewell), cubeX2(Dental Arts Laboratory), Katana STML(Kuraray Noritake), ArgenZ Anterior(Argen)
필요한 치아삭제량: 최소-일정량
재료 두께: 0.8~1.50㎜ 미만;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함.
심미성: 좋음. 적절한 반투명도를 보유하지만 리튬디실리케이트보다는 떨어짐. 다양한 색조.
내구성: 정확히는 알 수 없음. CR/TRAC 연구에서 장착 시 임상적으로 실패한 일부 사례가 있어 부분적으로 강도문제를 보였음.
CR 제안 사용법(추가적인 연구 진행): 온레이, 전치부 크라운, 비니어 등

지르코니아와 리튬실리케이드의 혼합
브랜드의 예: CeltraDUO(DentsplySirona), Suprinity(VITA)
필요한 치아삭제량: 중간 정도
재료 두께: 1.0~2.0㎜ 미만
심미성: 좋음. 중간 정도의 반투명도. 다양한 색조 보유
내구성: 알지 못함. 지르코니아 적용으로 강도는 추가됐을 것임.
CR 제안 사용(추가적인 연구 진행): 온레이, 크라운, 비니어 등

리튬디실리케이드
브랜드의 예: IPS e.max CAD/Press 및 IPS e.max Press Multi(Ivoclar Vivadent), Initial LiSi Press(GC America, 연구진행 중)
필요한 치아삭제량: 중간 정도
재료 두께: 1.0~2.0㎜ 미만
심미성: 우수함. 높은 반투명도. IPS e.max Press Multi는 색조 레이어를 제공함.
내구성: 우수함. 최근 CR 조사결과 구치부 싱글 크라운용 풀지르코니아와 동일한 임상성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남. CR/TRAC 연구 역시 장기간 연구에서 매우 제한적인 실패만을 나타냄.
CR 제안 사용: 구치부 크라운, 온레이, 전치부 크라운, 비니어 등. 이갈이 등 과도한 교합양상을 보이는 환자는 높은 강도의 지르코니아를 고려한다. 
주의: 이 재료는 고정성 브릿지 보철물용으로 사용하는 것에는 임상 성공 데이터가 제한적이다. 

리튬실리케이드
브랜드의 예: Obsidian(Glidewell)
필요한 치아삭제량: 중간 정도
재료 두께: 1.0~2.0㎜ 미만
심미성: 좋음. 높은 반투명도. 다양한 색조 보유
내구성: 알지 못함. 리튬디실리케이트와는 약간 다른 성분으로 구성돼 있으나 필적할만한 강도를 보유함.
CR 제안 사용(추가적인 연구 진행): 리튬디실리케이트와 유사함. 파우더 축성을 위한 비니어용으로 추천돼 옴. 

폴리머와 세라믹 혼합
브랜드의 예: Lava Ultimate(3M), Enamic(VITA), CeraSmart(GC America)
필요한 치아삭제량: 중간 정도
재료 두께: 1.0~2.0㎜ 미만
심미성: 좋음. 중간 정도의 반투명도. 다양한 색조 보유
내구성: 일정 부분 알려지지 않음. 최근 CR 조사결과 온레이에서 일정 임상 성공을 보였으며, 이는 온레이의 경우 리튬디실리케이트에 필적한 성능을 보임.
CR 제안 사용(추가적인 연구 진행): 온레이, 전치부 크라운, 비니어 등(참조: 3M의 Lava Ultimate은 현재 성분의 변화를 진행 중이며, 추가적인 적응증은 추후 발표될 것으로 보인다).

CR의 결론
모노리틱 재료들 중 최대 강도의 지르코니아는 싱글 크라운 및 고정성 보철물용으로 가장 우수한 내구성을 보이고 있다. 리튬디실리케이트는 싱글 크라운에서 우수한 내구성과 뛰어난 심미성을 나타내고 있다. 반투명 지르코니아 리튬디실리케이트, 그리고 모노리틱 재료들의 혼합등은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이들 새로운 재료들을 적용하기 전에 환자의 사전 동의를 확보하라. 적정한 치아프렙, 적정한 시멘테이션, 글레이징을 피하는 것이 모노리틱 수복물의 성공에 도움이 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기술 트렌드
신기술 신제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