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4-25 01:06 (목)
디지털시대 맞은 기공계 대응전략 짜야
상태바
디지털시대 맞은 기공계 대응전략 짜야
  • 구가혜 기자
  • 승인 2017.05.18 10:4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템포러리 크라운 3D 프린팅 재료 허가 목전

디지털 변화에 맞춰 치과계 대응전략 모색 시급



산업의 형태가 4차 산업혁명으로 전환되면서 치과계의 디지털화에도 가속도가 붙고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처(이하 식약처)는 지난 2월 ‘새로운 기술이 적용된 의료기기 개발 전망 보고서’를 발간하고 대표적 유망 기술에 3D 프린터를 꼽았다.

특히 이 보고서에 따르면 3D 프린팅 의료기기 시장규모는 전 세계적으로 2015년 6110억 원에서 해마다 15.4% 증가해 2021년에는 1조3926억 원으로 성장하고, 우리나라는 2015년 87억 원에서 연평균 29.1%씩 성장해 2021년 403억 원에 달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놨다.

또한 3D 프린팅 산업 전문조사 기관인 Wohlers Report(2016)에 따르면 3D 프린팅 기술의 주요 활용 분야는 산업용 기계(19.9%), 항공우주(16.6%), 소비재/전자제품(13.1%), 자동차(13.8%), 의료/치과(12.2%) 등이며, 산업용 기계 및 항공우주와 의료/치과 등이 시장에서 급격하게 성장 추세에 있는 활용 분야로 나타났다.

이러한 성장 추세에 발맞춰 기공계의 디지털 판도도 빠르게 변화가 시작될 조짐이다.

몇 년 전부터 업계를 중심으로 진행해 온 템포러리 크라운에 대한 3D 프린팅 재료 식약처 허가 승인을 목전에 두고 있다는 게 업계의 전언이다.

실제로 ㈜바이오쓰리디는 템포러리 크라운 전용 프린터에 대해 식약처로부터 관련 결과서를 이달 안으로 받아 볼 수 있다는 연락을 최근 받은 바 있다.

배영휘(바이오쓰리디 국내영역총괄) 차장은 “최종 결과는 두고봐야 알겠지만, 수입의료기기 최초로 기술 문서 심사에서 적합으로 결과가 나온 상황이라 긍정적인 결과를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일선에서는 허가 승인이 됐을 때 업무 범위 침범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경기도의 한 치과기공소장은 “허가 승인은 시장 흐름이지만 치과기공사의 업무 범위에 대한 우려가 없지 않다”면서 “승인에 앞서 법적으로 템포러리 크라운에 대한 치과기공사의 업무 범위를 확실히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러나 이 같은 우려속에서도 부정적인 영향은 적을 것이라는 분석이 현재는 지배적이다.

CAD/CAM 치과기공소를 운영하는 모 소장은 “3D 프린터기로 템포러리 크라운을 찍어내면 치과기공사의 후속 작업이 필요하다”면서 “업무범위가 침해받는 일은 거의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그는 “디지털화가 진행되면서 관련 기공 물량이 많아졌다. ‘밀링 장비를 하나 더 사야 하나?’ 고민하는 기공소가 많다”면서 “치과기공사들에게는 업무에 활용할 수 있는 선택지가 하나 더 생기는 셈이다. 어차피 치과계의 디지털화가 정해진 수순이라면 오히려 그것을 잘 이용해서 하나의 무기로 만드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관계자들은 식약처 승인은 디지털화에 따른 시장의 흐름이라는 데에는 이견이 없다. 다만 지금은 사회 변화에 걱정하기보다 디지털화에 대응할 수 있는 전략을 모색해 발전해나가는 데 힘을 모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신종우(신한대학교 치기공학과) 교수는 “4차 산업 혁명 시대로 전환되면서 새로운 기술과 장비들이 계속해서 쏟아지고 있는데, 가만히 지켜보고만 있을 것이 아니라 폭넓은 대응전략이 필요하다”면서 “모든 산업 분야가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하는 중에 치과계가 낙오되지 않기 위해서는 대한치과의사협회, 대한치과기공사협회, 대한치과위생사협회, 한국치과기재산업협회 4개 단체가 서로 상생과 발전을 위해 정책 포럼 등을 열어 4차 산업 혁명에 대한 대응 전략을 세우는 것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기술 트렌드
신기술 신제품